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OS라 하면 Window가 있다.
그런데 윈도우가 OS이기만 알고 있고 세부적인것에 대해 모를 수 있다 .

OS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사용자/시스템/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가 컴퓨터(하드웨어)를 키고 안에 들어 있는 각 종 프로그램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OS에 걸쳐가야한다.
예를 들면, 카카오톡이나 구글 크롬 같은 프로그램들을 사용하려면 하드웨어의 명령을 받아 OS가 역할을 수행해줘야 실행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를 들어보자면, 우리가 MS Excel 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우리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수정하고 저장하는 과정에서는 우리 컴퓨터의 DB에 저장이되고 메모리들이 저장되고 수정하는 과정들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실행시켜주게 하고 제어해주는 역할을 OS가 해준다.
즉, 다른 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
컴퓨터 시스템 구성요소
1. 하드웨어 : 기본적인 계산 자원을 제공
- CPU, memory, I/O devices
2. 운영체제 :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 하드웨어 간의 사용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역할
3. 응용/시스템 프로그램 : 쉽게 말해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의미함
- 웹 브라우저(네이버, 크롬), 메시지 플랫폼(카톡, 라인), 워드 프로세서 등...
운영체제의 종류
- Windows, Linux, Ubuntu, Mac OS, Android

커널(Kernel)
-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 부로 컴퓨터 자원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말한다.
컴퓨터 자원(System Resource) : CPU, 메모리, 파일, 네트워크, 입출력 장치 등
셸(Shell)
-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운영체제가 알아들을 수 있게 지시해주는 것으로, 사용자와 커널을 이어주는 것
셸과 터미널/콘솔은 항상 같이 실행되므로 둘은 보통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 셸 : 사용자가 글자를 입력하여 컴퓨터에 명령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 터미널/콘솔 : 셸을 실행하기 위해 글자 입력을 받아 컴퓨터에 전달하거나 컴퓨터의 출력을 글자 화면에 쓰는 프로그램
커널은 이와 같은 내용을 받아 하드웨어에 직접적으로 명령을 내려준다
'IT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PV, VG, LV 명령어 (0) | 2024.08.09 |
---|---|
파일 시스템(File System) (0) | 2024.08.09 |
리눅스 Destination Host Unreachable 원인과 해결방법 (0) | 2024.08.08 |
Vmware 네트워크 방식 Host-only, Bridge, NAT 구성 (0) | 2024.08.08 |
리눅스(Linux) 파일 시스템 swap & boot란? (0) | 2024.08.07 |